글번호
190703
작성일
2022.11.03
수정일
2022.11.03
작성자
박물관
조회수
595

[유물연구]강의(降衣)

[유물연구]강의(降衣) 첨부 이미지

강의(降衣)

중국 청대

153.5cm(w) × 127.0cm(l)

 

기원전 중국의 고대 민속신앙으로부터 시작된 도교는 오늘날까지도 동아시아 문화에 큰 영향을 미쳐왔다. 사진 속의 도교 법복 역시 겉에 수놓아진 다양한 기호와 상징들을 통해 도교의 영향이 동아시아 전반의 종교 및 시각 문화에 얼마나 깊게 관련되어 있는지 보여준다.

높은 지위의 도사가 의례복으로 입는 네모난 망토 형태의 법복은 강의(降衣)라는 이름을 가지고 있다.1) 이 이름은 도교 의례 또는 제사에서 도사가 어떤 역할을 하는지 암시하는데, 도사가 강의를 입고 의례를 진행하면 목적에 걸맞는 도교의 신들이 강림하게 만든다는 믿음 또는 소망을 표현한다. 도사의 육체는 신의 매개체가 되고, 도사가 착용한 강의는 제단과 함께 그 일대를 일시적으로 성스러운 장소가 되게끔 하는 장치로 변한다.2) 이러한 종교적 해석이 가능한 이유는 강의 자체가 도교를 바탕으로 하는 중국의 전통 우주론을 물질적으로 상징하고 표현하기 때문이다. 흔히 계란의 껍질과 노른자로 비유되는 중국의 전통 우주론은 둥근 하늘(우주)이 평평하고 네모난 땅(지구)을 감싸고 있음을 주장한다. 강의가 여타 중국 복식과 다르게 정사각형의 망토 형태인 이유는 도사가 네모난 강의를 입음으로써 인간이 사는 지구를 상징하고 강의에 수놓아진 우주적, 종교적 기호들은 도사의 신체와 강의에 깃들게 될 신적 존재들을 의미하는 것이다.3)

사진 속 강의의 좌우 가장자리는 검은색 띠로 감싸여 있는데, 그 위에 팔선의 상징과 팔괘가 각각 작은 동그라미 속에 교차로 놓여져 있다. 팔선의 상징은 칼(여동빈), 파초선(종리권), 피리(한상자), 죽통(장과로), 호리병(이철괴), 연꽃(하선고), 꽃바구니(남채화), 옥판(조국구)이 있다. 강의 뒷판의 중앙에는 우주를 옮겨놓은 듯한 구성의 자수가 있다. 가장 위쪽에는 세 개의 작은 원이 있는데, 다른 강의 유물들과 비교해보았을 때 숫자와 형태, 위치가 동일하게 나타나며 몇몇 강의에는 각 원 안에 탑이나 인간도 함께 수 놓여 있다. 이를 미뤄보아 이 세 개의 원은 옥청, 상청, 태청으로 구성되어 있는 도교의 최고신 삼청을 의미하는 듯 하다. 다시 말해 세 개의 원은 도교의 천국이라 하는 삼천 또는 삼천의 입구를 상징한다는 뜻이기도 하다. 양 옆에는 해와 달을 의미하는 금색 자수가 놓여져 있는데, 왼쪽에는 다리 셋 달린 새(삼족오, 수탉 또는 봉황)가 태양을 지키고, 오른쪽에는 달토끼가 불로장생의 약을 만들기 위해 절구를 찧는 모습이 보인다. 그 아래에는 28개의 작은 동그라미들이 커다란 삼각형을 감싸고 있다. 28개의 원은 달이 지구를 공전하는 약 27-28일 동안의 움직임에 맞춰 나뉘어진 중국 전통의 28수 별자리를 상징한다. 커다란 삼각형은 마치 불꽃에 휩싸여 있는 사원의 탑처럼 보이는데, 이는 도교의 최고신인 옥황상제의 궁전을 상징한다고 한다.4) 그 주위에 위치한 다섯개의 상형문자는 도교에서 부적처럼 쓰이는 상징 부호인 오악 문양으로, 성스러운 다섯 방향 또는 그 동서남북과 중앙에 위치한 다섯 명산을 의미한다. 각각 동악(장수), 남악(적이나 불로 인한 피해로부터의 보호), 중악(피로로부터의 회복), 서악(칼로 인한 자상으로부터의 보호), 북악(물로 인한 위험으로부터의 보호)을 상징한다.5)

중심 디자인의 바깥쪽에는 총 일곱개의 큰 보상화문이 위치하고 있으며, 동물문 네개와 신선문 세개로 구성되어 있다. 동물문은 검은 바탕의 청룡과 백호, 그리고 붉은 바탕의 코끼리6)와 사자7)가 있다. 신선문의 경우, 가장 뚜렷한 특징을 보이는 인물을 바탕으로 정체를 추측할 수 있다. 아래쪽 중앙에 위치한 인물은 아이를 업고 있는데, 이는 도교 삼성 중 하나인 복성(福星)의 대표적인 이미지로 볼 수 있다. 우주의 목성을 의인화한 복성은 복을 상징하며 함께 표현된 아이는 자손으로부터 오는 행복을 뜻하기도 한다. 도교 미술에서는 단순한 모자와 소매가 넓은 학자의 의상을 갖추고 있다고 전해진다. 왼쪽에 위치한 인물은 단령과 사모, 검은 신발(흑혜 또는 목화)를 갖추고 있는 것으로 미루어보아 녹성(祿星)으로 추측된다. 북두칠성 중 미자르 항성을 의인화한 녹성은 부와 명예를 상징한다. 마지막으로 오른쪽의 인물은 수성(壽星)으로, 인간의 수명을 상징한다. 삼성 중 가장 오랜 민간 신앙의 역사를 지닌 수성은 고대 중국인들이 남극성(카노푸스)을 장수와 관련된 별자리라 믿기 시작하면서 생긴 인격신으로, 남극선옹이라고 불리기도 한다. 주로 짧은 신장의 노인으로 그려지며, 높은 이마와 벗겨진 머리, 희고 긴 수염 등이 주요 특징이지만 사진 속 강의에서는 수염과 도포 너머로 보이는 굽은 등으로 나이 먹은 남성임을 알 수 있을 뿐이다.8)

따라서 이 강의 뒷판의 전반적인 디자인은 우주의 질서와 조화를 강조하는 도교의 가르침을 바탕으로 만들어진 것이다.

작성: 정영양자수박물관 최유진 인턴 

 

1)강의의 한자 구성은 크게 두 가지로 나타나는데, 하나는 내릴 강(降)을 쓰는 것이고 다른 하나는 진홍 강(絳)을 쓰는 것이다. 두 방식 모두 중국어로 [jiang yi]라는 발음을 가지고 있다. 후자의 진홍 강 자는 late imperial China에서 도교 복식에 붉은색을 주로 사용하였던 것으로부터 유래했다고 알려져있다. 강의의 정식 영문 명칭은 Robe of Descent로 내릴 강(降)의 의미를 직접적으로 드러내는 반면, 쿠퍼 휴이트 스미스소니언 디자인 박물관을 포함한 다수의 영어권 박물관에서는 Robe of Descent 옆에 내릴 강(降) 대신 진홍 강(絳)을 병기하는 것이 흥미롭다.
Ina Asim et al., “Collecting Silk,” The Artful Fabric of Collecting, online exhibition, Jordan Schnitzer Museum of Art, July 2019, https://glam.uoregon.edu/fabricofcollecting/page/collecting-silk.
2) Ina Asim et al., “Collecting Silk.”
3) Paola Dematte and Kate Irvin, “Symbolism in Taoist Robes,” From the Land of the Immortals: Chinese Taoist Robes and Textiles, exhibition, RISD Museum, January 13-April 22, 2012, https://risdmuseum.org/exhibitions-events/exhibitions/land-immortals.
4) Paola Dematte and Kate Irvin, “Symbolism in Taoist Robes”; “Daoist Priest’s Robe (China), 19th Century,” Cooper Hewitt, http://cprhw.tt/o/2CCMz/.
5) 이민정, 박경자, 안인실, “조선후기 면제갑주 문양에 대한 연구 II - 문양의 상징적 의미와 해석을 중심으로,” 한국복식학회 69권 제 7호 (2019): pp.57-59, DOI : 10.7233/jksc.2019.69.7.051.
6) 긴 코와 두 개의 상아를 보아 코끼리와 매우 흡사하게 생겼으나, 몸통의 점박이 무늬가 중국 전통 요괴인 맥을 떠올리게 한다. 꿈을 먹고 산다는 전설 속 동물인 맥은 곰을 닮은 생김새에 늘어진 코와 얼룩무늬가 있다고 알려져 있는데, 지역에 따라 뿔 또는 긴 어금니를 추가하기도 한다. 또한 청대가 코끼리문은 주로 코끼리가 뒤쪽을 바라보는 디자인으로 되어있으나 강의 속 동물은 앞을 바라보고 있어 호기심을 자아낸다.
Donald Harper, "The Cultural History of the Giant Panda (Ailuropoda Melanoleuca) in Early China,” Early China vol. 35/36 (2012-2013), pp.185-224, http://www.jstor.org/stable/24392405.
7) 이 문양 역시 동그랗게 말린 갈기와 깃털처럼 넓게 펴진 꼬리가 당대의 사자문처럼 보이지만 유사한 형태를 지닌 신수 또는 요괴일 가능성도 존재한다. 그 예로 기린, 백택, 해태 등의 신수들이 사자와 매우 비슷한 형태로 그려지곤 한다.
8) Mary H. Fong, "The Iconography of the Popular Gods of Happiness, Emolument, and Longevity (Fu Lu Shou)," Artibus Asiae vol. 44, no. 2/3 (1983): pp. 159-99. doi:10.2307/3249596.

첨부파일
첨부파일이(가)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