평수 Satin Stitch
평수는 길이와 방향을 자유롭게 할 수 있어서 수직이나 수평 대각선으로 공간을 채울 수 있는 기법으로 가장 일반적이고 보편적인 자수 기법이다. 아마도 평수는 고대에 단순한 패턴으로 의복을 장식하기 위해 최초로 이용하게 된 기법일 것이다.
씨앗수 Seed Stitch
씨앗수는 매듭수의 변형으로 바늘을 실로 단단하게 싸서 팽팽하게 잡는다. 바늘을 천의 뒷부분으로 통과시켜 수직으로 잡고 매듭으로 만든 실을 손가락으로 누른 후에 바늘을 위로 통과시켜 탄탄하게 수를 놓는다. 이 기법은 땀 사이의 간격이 매우 촘촘해서 간격이나 빈틈이 전혀 없다. 씨앗수는 어느 부분에 촘촘히 놓거나 천 전체에 걸쳐 이용하는 기법으로 꽃의 씨앗, 특히 꽃 수술을 표현하고 천의 질감을 표현할 때 이용한다.
자릿수 Mat Stitch
자릿수는 이음수가 변형된 기법으로 각각의 자수열이 촘촘히 또는 드문드문 서로 맞물려 연결된 형태이다. 자수가는 자수의 각 열의 길이를 측정할 수 있도록 첫 번째 자수 땀의 기준선을 천위에 직선으로 수를 놓아 잡을 수 있다. 그리고 기준선 위로 맞물린 세로 열을 수놓는다. 완성된 자릿수의 질감은 각각의 땀수와 연계된 자수열의 사이 간격으로 결정된다. 각 수 사이의 간격이 없는, 촘촘히 놓아진 자릿수는 벨벳과 같은 질감을 만들어 낸다. 유럽과 동양의 자수가들이 사용한 이 기법은 넓은 면을 색과 무늬로 채우는 곳에 이용되었다. 내구성이 좋은 자릿수는 불교의 깃발이나 장신구 또는 오래 보존되어야할 물건 등에 사용되었으며, 흉배에서 자주 쓰이는 수법이었다.
징금수 Couching Stitch
금속성의 실을 가느다란 견사로 천위에서 고정시키는 기법으로 움직임을 고정시킨다는 의미에서 징금수라 하였다. 명주 또는 종이로 된 노끈을 금박지로 감싸 천위에 놓고 문양을 만든 후 견사로 고른 간격의 땀으로 징그거나 고정한다. 주로 두 개의 금속사가 함께 징거지며 도안상 촘촘히 채워진 금속사가 필요하면 쌍으로 된 금속사를 나란히 놓아 썼다. 징금수는 금은사가 헤어지는 것을 막기 위해 개발되었다. 징금수는 섬세하게 다루어야하는 얇은 명주로 된 바탕천을 손상시키지 않고 질감을 표현할 수 있다. 기원전 475년 중국에서 시작된 이 기법은 17세기 강희제때 매우 유행했는데, 이는 청대의 정치적, 경제적 안정을 상징한다. 비슷한 시기의 유럽에서도 금사징금수가 넓게 쓰였으며 특히, 성직과 의식의 예복에서 볼 수 있다. 중국의 왕실에서 입었던 황제 복식과 관복, 원형의 장식과 의복 장신구에 값비싼 금사로 이루어진 무늬가 거의 빠짐없이 장식되었으며, 청나라 후기로 갈수록 더욱 성행 했다.
솔잎수 Water Weed Stitch
깃털 같은 솔잎의 각 부분은 이음수의 연속 또는 이음수의 한 변형된 형태로 이루어진다. 이때에, 작은 묶음의 ‘솔잎들’은 사실적인 효과를 낸다. 중심 줄기는 자락이 펼쳐진 형태의 이음수로 만들어지며, 각각의 솔잎자체는 곡선 문양으로 수놓아진 이음수의 연속으로 구성된다. 솔잎들은 중심 줄기 없이도 구성될 수 있다.
사슬수 Chain Stitch
사슬수는 각각의 고리를 연결하여 선을 만들거나 무늬를 채우는 기법이다. 여러 형태로 변형된 사슬수는 전 세계적으로 널리 사용되었는데 기원전 4세기의 시베리아와 동아시아의 무덤들에서 그 표본들이 발견되고 있다. 동일한 사슬수 기법들이 고대 남미인과 고대 이집트인의 직물들에서도 보인다. 사슬수는 곡선을 이루는 무늬를 만들고 채우는 가장 손쉬운 방법이다. 그림 A에서, 고리들은 선을 만들거나 무늬를 채우도록 연결되어 있다. 구부러진 외곽을 부드럽게 메우기 위한 고른 선은 사슬의 모퉁이에서 바늘을 잡아 빼어 만들 수 있다. 꼬임 사슬수는 도드라지는 입체감을 가져 다른 사슬수 기법보다 표면 위에 높게 올라온다.
납사수 Counted Stitch
납사수 기법은 올이 성긴 직물 위에 놓는 짧은 땀의 자수를 말한다. 날실(직물의 세로실)을 세고 사선으로 날실 위들 감싸 수놓는 것은 텐트스티치(tent stitch)로 알려져 있으며, 씨실(직물의 가로실)을 세로방향으로 직선으로 씌우듯이 수놓는 것을 벽돌수라 한다. 땀수의 길이와 수놓아진 방향은 문양의 특징을 결정한다.
자련수 Long and Short Stitch
단순한 평수가 한 면이나 무늬를 나타내는 반면, 자련수는 문양에서 사실감을 높이기 위해 색을 혼합하는 곳에 이용된다. 자련수는 평수가 변형된 형태로, 색조를 조정하기 위해 각각의 자수열을 길고 짧은 길이로 번갈아 수놓아 농도를 얻어낸다. 색상의 농담은 첫 번째 열의 짧은 땀들이 다음 열의 다른 색상의 긴 땀들과 만날 때 만들어 진다.(그림 A) 자련수들의 교차점들은 선행된 열의 바늘 땀 바로 밑으로 바늘을 넣음으로써(한 손가락으로 앞 열 옆으로 실을 잡아당긴다) 다음 열이 만들어지는, 그리하여 두 개의 열이 맞물려지고 결합되는 히든 스티치(hidden stitch)기법으로 놓여진다. 자련수들의 맞닿은 합류는 색들 사이에서 보다 현란한 변화를 만들어낸다. 두 번째 땀이 앞 수의 땀 바로 위로 바늘을 넣지 않도록 주의하지 않으면 앞의 땀의 실이 분리될 수 있다.